9/29/2011 Column – Korea Town Daily

미국 세법 263A에 따르면 3년동안 연 매출액이 1천만불이 넘는 회사는 일명 “UNICAP”이라고 불리는 통일 자본화 (Uniform Capitalization) 규정을 적용하여 관련된 비용을 자본화 해야 한다.

UNICAP 규정은 제조하거나 재판매하기 위해 구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직접 또는 간접 비용을 재고자산(Inventory) 또는 유형자산(Tangible Personal Property) 금액에 포함하는 것으로 과세표준(Taxable Income)을 산정하는 데 사용된다. 유형 자산(Tangible Personal Property)이라는 것은 필름, 녹음기, 비데오, 책 또는 유사한 자산을 말한다.

예를 들어 U제조회사의 당해년도 매출원가(COGS: Cost of Goods Sold)는 기초 재고자산(Beginning Inventory)+매입액(Purchase)-기말 재고자산(Ending Inventory)이다. 기초 재고자산이 2백만불이고 매입액이 1천 5백만불이고 기말재고액이 3백만불일경우 매출원가는 1천4백만불(2백만불+1천 5백만불-3백만불)이다.

UNICAP 규정은 기말 재고자산의 금액에 직접 또는 간접 비용등이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말 재고자산 금액을 증가시킨다. 기말 재고자산 금액의 증가는 매출원가가 감소하여 과세표준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럼 어떤 비용이 자본화 비용에 포함되어야 하는가?

제조과정이나 재판매과정에서 발생한 직접 또는 간접비용은 자본화되어야 한다. 제조회사의 경우 직접 재료비와 직접 노무비는 직접비용이다.
다음과 같은 간접비용은 자본화되어야 한다.

입찰 비용(Bidding Costs). 자본화 될수 있는 용역비(Capitalizable Service Costs), 회수 가능 원가 충당금(Cost Recovery Allowance), 기술설계비(Engineering and Design), 종업원 복리 후생 비용(Employee Benefit Expenses), 취급비(Handling Costs), 간접 노무비(Indirect Labor Costs), 간접재료비(Indirect Material Costs), 보험(Insurance),이자 (Interest), 면허 및 독점판매권 비용(Licensing and Franchise Costs), 임원 상여금(Officer’s Compensation), 연금과 관련 비용(Pension and other related Cost), 매입원가(Purchasing Costs), 품질 관리(Quality control), 임대료(Rent), 수선 유지비(Repairs and Maintenance), 손상품비(Spoilage), 창고비(Storage costs), 세금(Taxes), 공구 비품(Tools and Equipment), 수도 광열비(Utilities)
등은 자본화 되어야 한다.

다음과 같은 간접비는 자본화 할 필요가 없다.

판매비(Selling and Distribution Cost), 연구 실험비(Research and Experimental Expenditure), 수익세(Income Tax), 감모상각비(Amortization Cost), 파업비용(Strike Expense), 현장 창고비(On site Storage Cost), 실패한 입찰비용(Unsuccessful Biding Costs), 공제가능한 용역비(Deductible Service Cost) 등은 자본화 할 필요가 없다.
회사들은 비용을 계산하는데 있어 Specific Identification 방법, Burden Rate 방법, Standard Cost 방법 또는 다른 합리적인 방법을 사용할수 있다.

회사의 연 매출액이 1천만불이 넘는 회사는 UNICAP 규정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전문가와의 상의가 필요하다.

최준순 CPA
Partner, UCMK, LLP